화요일[여기저기 쏙쏙]
벙어리처럼 침묵하고, 왕처럼 말하며, 눈처럼 냉정하고 불처럼 화끈해라
1. opic 강의
2. 이것이
3. 프로그래머스 0Lv
4. 22일 시청각자료
5. 해비유저가 소유한 장소 SQL 풀기
1>
취미를 노래로 선택했을 경우
종류는 ballade
효과 : calms me down, helps me meditate(명상하다) : 나를 명상하게 도와준다 | get me going :나를 에너지 넘치게 만들어준다.
storyline : 좋아하는 노래, 노래의 특징, 노래를 좋아하는 이유
종류 : My favorite songs to sing are ballade. ballade are songs that are sung for parting of pain.
ballade are difficult to sing, so good singers can sing. they are also interesting.
I also like ballade this is because they remind me of spending time with my ex in the pase.
음.. 노래로 선택해도 괜찮을 거같긴하지만 , 악기연주와 연관을 지을 수 있어야 될 수도 있기에 피하길..요망!
2>
구현 part
완전 탐색 :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산하는 해결 방법
시뮬레이션 :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해야하는 문제 유형
상하좌우
설명 : nX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위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시작좌표는 1,1이다
input
5
R R R U D D
이 때 정사각형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된다.
Output
3 4
답안
n = int(input())
x, y = 1, 1
plans = input().split()
dx = [0,0,-1,1]
dy = [-1,1,0,0]
move_types = ['L','R','U','D']
for plan in plans:
for i in range(len(move_types)):
if plan == move_types[i]:
nx = x + dx[i]
ny = y + dy[i]
if nx < 1 or ny < 1 or nx > n or ny > n :
contiue
x, y = nx, ny
print(x,y)
시.공간 복잡도는 확실히 답안이 좋을 거같다.. 나는 이렇게 했다!
point = int(input())
x, y = 1 , 1
a = list(input().split())
for i in a :
if i == "U" and x == 1:
continue
elif i == "L" and y == 1:
continue
elif i == "D" and x == point:
continue
elif i == "R" and y == point:
continue
elif i == "R":
y += 1
elif i == "D" :
x += 1
elif i == "L" :
y -= 1
elif i == "U" :
x -= 1
print(x,y)
시각
설명: 정수 N이 입력되면서 0시 0분 0초 부터 N시 59분 59초 까지의 모든 시각 중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
답안 :
h = int(input())
count = 0
for i in range(h+1):
for j in range(60):
for k in range(60):
if '3' in str(i) + str(j) + str(k):
count += 1
print(count)
이렇게 완전탐색을 하였는데,
내 답안은 1시간에 노출되는 3의 값을 구한 후 그에 따라 값을 내면 효율이 좋지 않나 생각한다.
음.. 근데 해보니까 시간이 변경됨에 따라 경우에 수도 늘어나기에 완전탐색을 해야 수고를 더는 거 같다..
실전문제
왕실의 나이트
설명:8x8 좌표에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되는데 나이트가 이동할 수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시오
나이트는 L자형태(수평/수직으로 2칸 이동 후 수직/수평으로 한 칸 이동
답안:
input_data= input()
row = int(input_data[1])
colum = int(ord(input_data[0])) - int(ord('a')) + 1
steps = [(-2,-1),(-1,-2),(1,-2),(2,-1),(2,1),(1,2),(-1,2),(-1,2),(-1,2),(-2,1)]
result = 0
for step in steps:
next_row = row + step[0]
next_column = column + step[1]
if next_row >= 1 and next_row <= 8 and next_column >= and next_column <= 8:
result += 1
print(result)
내 답안...(민망)
a = input()
if a[0] in ('a','h') :
if a[1] in ('1','8') :
answer = 2
elif a[1] in ('2','7') :
answer = 3
else :
answer = 4
elif a[0] in ('c','d','e','f') :
if a[1] in ('1','8') :
answer = 4
elif a[1] in ('2','7') :
answer = 6
else :
answer = 8
elif a[0] in ('b','g'):
if a[1] in [=('1','8') :
answer = 3
elif a[1] in ('2','7') :
answer = 4
else :
answer = 6
print(answer)
게임개발
설명 :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x1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x M크기의 직사각형으로,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.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.
맵의 각 칸은 (A,B)로 나타낼 수 있고,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,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. 이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, 바다로 되어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.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매뉴얼은 이러하다.
1.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(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)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.
2.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다름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.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.
3.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있는 칸의 경우에는,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두로 가고 1단계로 돌아간다. 단, 이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.
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캐릭터의 움직임에 이상이 있는지 테스트하려고 한다. 매뉴얼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시킨 뒤에,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.
input
참고0 - 북, 1 - 동, 2- 남, 3- 서 0 -육 1- 바다
4 4
1 1 0
1 1 1 1
1 0 0 1
1 1 0 1
1 1 1 1
답안:
n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# 방문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맵을 생성하여 0으로 초기화
d = [[0] * m for _ in range(n)]
# 현재 캐릭터의 X좌표, Y좌표, 방향을 입력받기
x, y direction = map(int, input().split())
d[x][y] = 1 # 현재 좌표 방문 처리
# 전체 맵 정보를 입력받기
array = []
for i in range(n) :
array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
# 북, 동, 남, 서 방향 정의
dx= [-1,0,1,0]
dy = [0,1,0,-1]
# 왼쪽으로 회전
def turn_left():
global direction
dirction -= 1
if direction == -1:
direction = 3
# 시뮬레이션 시작
count = 1
turn_time = 0
while True :
# 왼쪽으로 회전
turn_left()
nx = x + dx[direction]
ny = y + dy[direction]
#회전한 이후 정면에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
if d[nx][ny] == 0 and array[nx][ny] == 0:
d[nx][ny] = 1
n = nx
y = ny
count += 1
turn_time = 0
continue
# 회전한 이후 정면에 가보지 않는 칸이 없거나 바다인 경우
else :
turn_time += 1
# 네 방향 모두 갈 수 없는 경우
if turn_time == 4 :
nx = x - dx[direction]
ny = y - dy[direction]
# 뒤로 갈 수 있다면 이동하기
if array[nx][ny] == 0:
x = nx
y = ny
# 뒤가 바다로 막혀있는 경우
else:
break
turn_time = 0
print(count)
..네..?
3>
기약분수 구하기
import fractions
def solution(denum1, num1, denum2, num2):
answer = []
a = fractions.Fraction(denum1,num1)
b = fractions.Fraction(denum2, num2)
c = a+b
answer.append(c.numerator)
answer.append(c.denominator)
return answer
factions 라이브러리 사용
혹은 math.gcd()를 사용해도 됨
sorted는 현재 array를 변경하지 않음
array.sort(reverse=True)를 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됨
4>
이력서 첫 문장을 눈에 홀리게 하는것이 좋을 것,
자신이 갖고있는 알고리즘 및 github을 관리하여 자신만의 아카이브를 만드는 것이 좋을 듯
5>
헤비유저가 소유한 장소
-- 코드를 입력하세요
SELECT * FROM PLACES
WHERE HOST_ID = ANY(SELECT HOST_ID FROM (SELECT HOST_ID, COUNT(HOST_ID) FROM PLACES
GROUP BY HOST_ID
HAVING COUNT(HOST_ID) NOT LIKE 1)A)
ORDER BY ID
서브쿼리 2개를 사용해서 조회하였다.
서브쿼리의 ROWS가 2개이면 그냥 LIKE를 쓰면 오류가 나더라
그럴 땐 = ANY를 사용하면 된다!
갓(구)글
= 는 정확한 숫자 및 문자 비교!
LIKE는 문자 비교
// yesterday wished to today list.
. opic 강의 듣기https://www.hackers.co.kr/?c=s_lec/lec_speak/lec_Speaking_OPIc_movies&part=opic_✔️
. 이것이_✔️
. 프로그래머스 0lv 못푼 거 풀기_✔️
. 22일에 시청각자료 보기_✔️
tomorrow wish list
. SQL 2문제
. ㅇㅈ언니랑 재밌게 시간 보내기
. opic 강의 듣기https://www.hackers.co.kr/?c=s_lec/lec_speak/lec_Speaking_OPIc_movies&part=opic
. 이것이 진도 나가기
. https://github.com/JaeYeopHan/Interview_Question_for_Beginner 읽기
'IT To do and To wa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년 11월 26일_단단한 나, 이것이 코딩테스트다, 프로그래머스 0lv (2) | 2022.11.26 |
---|---|
22년 11월 23일_운수 좋은 날, SQL 문제, 토스로 전향 (0) | 2022.11.23 |
22년 11월 21일_앞으로 나아가면 온세상 사람들을 자꾸자꾸 보겠네 (0) | 2022.11.21 |
22년 11월 20일_python 메소드 기본 및 상속 (0) | 2022.11.20 |
22년 11월 19일_python3 예외처리, list slice 객체 클래스 및 기초 개념 뇌새김, 오픽 예상문제 정리 (0) | 2022.1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