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 To do and To was

22년 11월 4일_하루 남았다..!

728x90
반응형

금요일[벌써 금요일이네.. 하루가 너무 빠르다.]

 

1. 알고리즘

2. SQL

 

1>

 

알파벳을 16진수로 변경해서 출력

a = int(input(), 16)

for i in range(1, 16):
    print("%X*%X=%X" % (a, i, a*i))

 

모든 경우의 수를 보이게 하려면 for문을 써서 손쉽게 하면 된다

 

r, g, b = map(int, input().split())
for i in range(r):
    for j in range(g):
        for k in range(b):
            print(i, j, k)
print(r*g*b)

 

[복습]

소수점 보이게

 

format(변수명,'.자릿수f')

 

코드업 6086

n = int(input())

j = 0
if n == 1 :
    print(1)
else:
    for i in range(n):
        j += i
        if j >= n :
            break
    print(j)

 

난 이렇게 했는데.. 이게 뭔가 정답은 아닌 거같다.. 다른 것들도 딱히 정답은 아닌거같..크흡

 

코드업 6087

n = int(input())

for i in range(n+1):
    if i % 3 == 0 :
        print(end='')
    else:
        print(i ,end=' ')

난 이렇게 했는데 다른 사람은..

n=int(input())
for i in range(1,n+1):
    if i%3==0:
        continue
    print(i,end=' ')

이렇게 continue로 빼더라

6088

a,d,n = map(int, input().split())

for i in range(1, n):
    a += d
    
print(a)

 6092

a = input()
a = int(a)
b = input().split()
d = []

for i in range(a):
    b[i] = int(b[i])
    
for i in range(24): 
    d.append(0)
    
for i in range(a):
    d[b[i]] +=1

for i in range(1, 24):
    print(d[i], end =' ')

6093

a = int(input())
b = input().split()

for i in range(a):
    b[i] = int(b[i])

for i in range(a-1, -1, -1):
    print(b[i], end = ' ')

 

range를 반대로 하려할 땐

range(시작, 끝, 증감)이니

시작을 마지막 숫자, 끝을 -1로 증감을 -1로 하면 된다.

 

6094

a = int(input())
b = input().split()

for i in range(a):
    b[i] = int(b[i])
    
result = b[1]

for i in range(a):
    if result > b[i] :
        result = b[i]
        
print(result)

6096...

아니..이게 기초라구..?ㅜㅜ

d=[]
for i in range(20) :
  d.append([])
  for j in range(20) : 
    d[i].append(0)

for i in range(19) :
  a = input().split()
  for j in range(19) :
    d[i+1][j+1] = int(a[j])
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 :
  x,y=input().split()
  x=int(x)
  y=int(y)
  for j in range(1, 20) :
    if d[j][y]==0 :
      d[j][y]=1
    else :
      d[j][y]=0

    if d[x][j]==0 :
      d[x][j]=1
    else :
      d[x][j]=0

for i in range(1, 20) :
  for j in range(1, 20) :
    print(d[i][j], end=' ')
  print()

거짓말 치지마..ㅜㅜ

 

일단..

해당 칸에 값을 채우는 코드는

for i in range(h+1) :

    m.append([])

    for j in range(w+1) :

        m[i].append(0)

 

96번부터 멘붕이다..

 

너무 헷갈린당... 제발 이딴 문제는 안나왔으면 좋겠다..

 

6098

m=[]
for i in range(12) :
  m.append([])
  for j in range(12) :
    m[i].append(0)

for i in range(10) :
  a=input().split()
  for j in range(10) :
    m[i+1][j+1]=int(a[j])

x = 2
y = 2
while True :
  if m[x][y] == 0 :
    m[x][y] = 9
  elif m[x][y] == 2 :
    m[x][y] = 9
    break

  if (m[x][y+1]==1 and m[x+1][y]==1) or (x==9 and y==9) :
    break

  if m[x][y+1] != 1 :
    y += 1
  elif m[x+1][y] != 1 :
    x += 1
    

for i in range(1, 11) :
  for j in range(1, 11) :
    print(m[i][j], end=' ')
  print()

 

어후..ㅜ 코드업 100제 끝냈다고 하기 어렵지만 어찌저찌 끝냈다..

 

프로그래머스 시작

 

def solution(a, b, n):
    answer = 0
    a = int(a)
    b = int(b)
    n = int(n)
    
    while n >= a :
        add = n // a
        n = n - (add*a)
        n = n + (add*b)
        answer += add*b
        
    return answer

 

다른사람 풀이보니까..이건 뭐죠..?

solution = lambda a, b, n: max(n - b, 0) // (a - b) * b

이 코딩 괴물은 뭐지.. 무서워.. 나같은 병아리가 살아갈 수 있을까..

 

음 ㄱㅇㅇㅃ가 온다고 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스트레스 풀고와야겠다 싶다

 

아니..그리고 프로그래머스 1lv 전혀 무시할게 안된다...생각보다 난이도가 있다.. 아니..XX높다..

 

ㅇㅈ언니도 천천히 하라고 하니.. 다음 spring 인턴을 노려도 되지 않을까 싶다..

 

// yesterday wished to today list. 알고리즘 Lv2문제 많이 만지고 이해하기_못만짐.. Lv1.에 놀라기 바빴음

. 아쉬움 없이 해보기_아쉬울 거같음..좀 더 해볼걸..하며.. 이따 새벽에 이어서 하도록 하겠다!

. 도서관 가서 딴짓 많이 자제하기_아예 안함

.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일관된 성격 내포하기_노력하고 있다.

. 너무 많은 스트레스는 받지 않기_노력하고 있다.

 

tomorrow wish list

. 시험 아쉬움 없이 보기

. 일관된 성격 갖기 

. 긍정적으로 생각하기

. 아침에 일찍  혹은 밤 새서 테스트 및 공부

. 다치지 않기

. 스트레스 적게 받기

 

 

728x90
반응형